Visual Studio 2015 UTF-8 인코딩 설정하기

Visual studio 2015 에서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인코딩이 자동으로 CP949\(EUC-KR\) 로 설정됩니다. 이는 다른 플랫폼 간 호환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당장 Git 클라이언트인 source tree 또는 Github desktop 에서 한글로 작성한 주석은 모두 깨지는 것을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웹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같은 경우 대부분 유니코드를 사용하며 이를 저장하기 위해 UTF-8 인코딩을 사용하며 현대 개발에 있어 표준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 Tips UTF-8 은 유니코드1) 를 위한 가변 길이 문자 인코딩 방식 중 하나로, 켄 톰프슨과 롭 파이크가 만들었다. UTF-8 은 Universal Coded Character Set + Transformation Format – 8-bit 의 약자이다. wikipedia ...

2023년 05월 18일 · 2 min · 357 words · JongBin

Doxygen 주석으로 생성하는 코드 문서

개발자는 다른 사람이 만든 코드를 사용할 때 보는 매뉴얼이 있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무엇을 하려면 어떤 URL에 어떤 내용을 요청해야 하는지, 함수가 하는 일과 인자는 무엇을 전달해야 하는지 상세히 다룬 내용입니다. 이런 문서를 소스 코드와 별개로 관리한다면 소스 코드의 수정이 있을 때마다 각각 수정 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수정 내용이 반영이 되지 않는다면 문서 내용에 결점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글링 중 Doxygen을 찾았고, 실무에 사용하기 위해 공부하고 포스팅 했습니다. ...

2023년 05월 15일 · 5 min · 1063 words · JongBin

메일 서버 구축하기

도메인이 있어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나만의 메일 서버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메일 서버 구축에 들어갔습니다. 메일 서버를 구축할 때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postfix, opendkim, policyd-spf 그리고 dovecot입니다. postfix 💡 Tips : Postfix 는 전자우편의 경로를 지정하고 전달하는 자유 오픈 소스 메일 전송 에이전트이다. wikipedia 이메일은 SMTP1)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메일 서버끼리 메일을 주고받습니다. Install ⚙️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 패키지 관리자가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설치하면 쉽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설치 패키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

2023년 04월 29일 · 7 min · 1377 words · JongBin

이기종 데이터베이스 DB Link 연동하기

이기종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경우 보통의 경우라면 REST1)와 같이 중간에 API2)를 만들어 통신합니다. 하지만 서로 다른 호스트의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연결하여 통신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DB Link라는 것을 사용하여 직접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DB Link 💡 Tips : A database link is a connection between two physical database servers that allows a client to access them as one logical database. A database link connection is one-way in the sense that a client connected to local database A can use a link stored in database A to access information in remote database B, but users connected to database B cannot use the same link to access data in database A. If local users on database B want to access data on database A, then they must define a link that is stored in the data dictionary of database B.- ORACLE ...

2023년 04월 29일 · 3 min · 502 words · JongBin

Hugo를 이용하여 블로그 만들기

기존에 사용하던 플랫폼을 버린 이유 글쓴이 본인은 Wordpress라는 플랫폼을 사용하여 공부한 내용을 적어놓곤 했습니다.. 하지만 필수로 설치해야 하는 플러그인과 편의를 위한 플러그인 몇 개만 깔아도 10개는 우습게 넘어갑니다. 플러그인끼리 충돌하여 문제를 일으킨 적은 없지만 많이 무거웠고 단순히 공부한 내용을 적는 블로그인데 취지와 많이 벗어난 것 같았고 관리 포인트도 많고, 그래서 가볍게 포스팅할 수 있는 플랫폼을 찾던 중 Jekyll이라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자료들이 한순간에 없어지면 안 되니 DB 및 데이터 백업도 했습니다. ...

2023년 04월 27일 · 3 min · 490 words · JongB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