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ble Diffusion AI 이미지 생성기 로컬 구축하기

💡 Quotation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은 2022년에 출시된 딥 러닝, 텍스트-이미지 모델이다. 스타트업 스태빌리티 AI(Stability AI)가 여러 학술 연구원 및 비영리 단체와 공동으로 개발했다. 스테이블 디퓨전은 사용자로부터 텍스트를 입력받아 그림이나 사진으로 출력을 해줍니다! 😎 깃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클론을 받고 배치파일 또는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구축하는 방법도 쉽습니다. 사양 CPU: Ryzen5 7500F MEM: DDR5 32GB GPU: nVidia RTX 4060 8GB (엔비디아 권장) Windows 11 Pro x64 준비 Git 깃 허브에서 스테이블 디퓨저 및 확장 모듈을 클론할 때 필요합니다. Python AI 는 파이썬 위에서 돌아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설치 후 환경 변수 추가 필요 Win + R 키를 눌러 sysdm.cpl ,3 입력 환경변수 클릭 Path에 Python3 설치 경로 추가 %appdata%\..\Local\Packages\ 에 찾을 수 있음 파이썬이 설치된 루트 디렉터리와 Scripts 디렉터리 두 개 추가 Path 가 길다고 오류 메세지가 나오면 아래와 같이 조치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FileSystem 에서 LongPathsEnabled 값을 1로 수정 Stable Diffusion WebUI 필요한 패키지를 자동으로 받아주고 Web UI 를 제공 실행 클론을 한 후 해당 디렉터리 안에 webui.bat 을 실행하면 됩니다. ...

2025년 02월 02일 · 2 min · 303 words · JongBin

유니티 안드로이드 빌드 및 무선 연결 실행

이번 글에서는 유니티 프로젝트를 안드로이드로 빌드 후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배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 Android SDK 설치 안드로이드로 빌드하기 위해서 Android SDK 가 필요합니다. 인터넷에서 따로 찾아서 설치할 필요 없이 유니티 허브에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저는 이미 설치가 되어 있어서 installed 라고 나와있습니다! JDK 또한 따로 설치하여서 유니티에서는 제외해 주었습니다. 환경 변수 추가 안드로이드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하려면 adb1 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adb.exe 가 있는 곳을 환경 변수로 등록해 주면 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2025년 01월 29일 · 2 min · 275 words · JongBin

유니티 에셋 및 애니메이션 추가하기

유니티 에셋 스토어에 있는 캐릭터를 다운받고 유니티 프로젝트에 적용해 봅시다! 우선 저는 귀여운 동물들이 있는 무료 에셋을 골랐습니다. 😄 프로젝트 에셋 추가 마음에 드는 에셋을 골랐다면 프로젝트에 추가해 줍니다. Package Manager - My Assets 에 스토어에서 고른 에셋이 보이는데 여기서 다운로드 받은 후 Import 시켜줍니다. 적용 캐릭터가 있을 땅을 하나 만들어주고, 그 위에 추가한 에셋을 추가해 보겠습니다. 3D Object 에서 Plane 을 눌러 땅을 추가했고 카메라를 조금 더 위에 두어 시야를 조정했습니다! ...

2025년 01월 26일 · 3 min · 618 words · JongBin

유니티 마우스 클릭으로 객체 이동 시키기

객체 또는 플레이어를 이동 시키기 위해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입력을 받아 위치 값을 변경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마우스를 입력으로 받아 객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해보려고 합니다! 👍 🚀 Raycast 마우스 입력 받기 위해 먼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 마우스 클릭했을 때의 시점과 그 시점에 포인터가 가리키는 곳이 필요합니다. 해당 정보는 Raycast를 사용하면 아주 간편하게 정보를 얻어올 수 있습니다! 💡 Raycast 는 레이저 광선을 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마우스 클릭했을 때 레이저를 쏘고 해당 레이저가 콜라이더에 닿았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정보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

2025년 01월 18일 · 2 min · 306 words · JongBin

유니티 Vector 정규화

💡 Quotation 벡터(Vector)는 물리학 및 공학에서 벡터는 위치, 속도, 힘 등과 같이 크기와 방향성을 갖는 물리량을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기하학적 대상이다. 유니티에서 키보드의 입력을 받아 플레이어의 특정 방향으로 움직일 때 Normalize를 거친 벡터를 사용하라고 하는데 왜 그럴까? 궁금해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 Nomalize (정규화) 일단 제가 알고 있는 정규화는 0 ~ 1 범위로 표현하는 것을 정규화라고 알고 있습니다. 벡터의 정규화는 어떤 것을 의미할까요? Vector3.Normalize()의 코드를 먼저 분석해 보겠습니다. 💡 Git: Unity-Technologies에 Vector3의 코드를 볼 수 있습니다! ...

2025년 01월 18일 · 2 min · 358 words · JongB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