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유니티 프로젝트를 안드로이드로 빌드 후 스마트폰에 무선으로 배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 Android

SDK 설치

안드로이드로 빌드하기 위해서 Android SDK 가 필요합니다. 인터넷에서 따로 찾아서 설치할 필요 없이 유니티 허브에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add_module

module_list

💡 저는 이미 설치가 되어 있어서 installed 라고 나와있습니다! JDK 또한 따로 설치하여서 유니티에서는 제외해 주었습니다.

환경 변수 추가

안드로이드 기기와 무선으로 연결하려면 adb1 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adb.exe 가 있는 곳을 환경 변수로 등록해 주면 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Win +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띄우고 sysdm.cpl ,3 을 입력합니다.

run

환경 변수 에 윗 부분에 있는 PATH 를 더블 클릭하여 adb.exe 파일이 있는 경로를 추가해 줍니다.

sysdm

environment

✅ 만약 Android SDK 를 따로 설치하신 분들은 adb.exe가 이미 있을 수도 있습니다.

유니티 허브에서 설치하셨다면 C:\Program Files\Unity\Hub\Editor\[UNITY_VERSION]\Editor\Data\PlaybackEngines 에 있습니다!

이제 명령 프롬프트 를 실행해서 adb.exe 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확인해 봅시다! 😎

check_adb

개발자 모드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소프트웨어 정보빌드번호 를 계속 누르면 아래와 같이 개발자 모드 관련 메세지가 나옵니다. 계속 눌러서 개발자 모드를 열어 주세요!

open_develop

무선 디버깅 연결

개발자 옵션을 열었다면 설정에 개발자 옵션 이 맨 밑에 추가 되었을겁니다. 무선 디버깅을 켜고 페어링 코드로 기기 페어링 을 눌러줍니다.

pair

이제 명령 프롬프트를 열고 안드로이드 기기에 나온 코드를 입력해서 진행합니다.

pair2

💡 페어링은 PC 에 최초로 접속할 때 한 번만 하면 됩니다.

페어링이 됐다면 페어링된 기기 에 조회가 됩니다. 그리고 이제 연결을 진행합니다.

wireless_debug

connect

유니티

유니티 프로젝트에서 Build Profiles 에서 안드로이드로 스위칭해 주시고 아래 Run device 에서 연결된 안드로이드 기기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만약 보이지 않는다면 그 옆 Refresh 버튼을 누른 후 다시 확인해 보세요.

build_profiles

Build and run 을 누르면 빌드 후 자동으로 기기에서 해당 프로젝트가 실행됩니다! 👍

각주


  1. 안드로이드 디버그 브리지(Android Debug Bridge)는 안드로이드 기반 기기들의 디버깅에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도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