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티 Physic material 사용하기
💡 Physic Material 은 충돌하는 오브젝트의 마찰 또는 바운스 효과를 조정하는 데 사용합니다. - Unity document
Player 객체의 조작감을 손보고 있었는데 도저히 원하는 조작감이 나오지 않아 여러가지 찾아보던 중 Physic material 이라는 것을 알게 되어 글로 남기려고 합니다. 😭
Collider component
물리 재질은 콜라이더 컴포넌트에서 추가할 수 있으며 기본값이 아닌 다른 재질로 설정하고 싶다면 Physic material 을 새롭게 만들어서 추가하면 적용됩니다. 😎
🚀 Physic material
물리 재질에는 다음과 같은 속성이 있습니다.
속성 | 기본값 | 설명 |
---|---|---|
Dynamic Friction | 0.6 | 움직이는 동안 표면간 마찰력 |
Static Friction | 0.6 | 정지상태일 때 마찰력 |
Bounciness | 0 | 충돌했을 때 탄성력 |
Friction Combine | Average | 두 표면 마찰 계산 방식 |
Bounce Combine | Average | 두 표면 충돌 계산 방식 |
값은 모두 0 ~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 에 가까울 수록 마찰력 또는 탄성력이 쌔집니다.
공튀기기 같은 게임을 만들 때 플레이어의 콜라이더 물리 재질의 Bounciness 값을 1로 만들어 충돌했을 때 탄성력을 최대로 하면 되겠죠? 😄
Combine 은 두 표면이 가진 물리 재질을 어떻게 계산할 것인지 정의 합니다. Average, Maximum, Minimum, Multiple 과 같은 계산 방식이 있습니다.
역시 공튀기기 게임이라면 Bounce Combine 을 Maximum 으로 설정하여 어떤 표면이던지 플레이어가 가진 Bounciness 1의 값이 출력되도록 하면 되겠죠?
최대 정지 마찰력
💡 최대 정지 마찰력은 물체가 움직이기 직전에 나타나는 정지 마찰력이다. - 나무위키
Dynamic Friction 과 Static Friction 이 나뉜 이유는 아마 최대 정지 마찰력을 물리 엔진에서 계산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