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icale를 이용하여 개인 캘린더/주소록 서버 구축하기

Radicale

Radicale

Raidcale는 CalDAV/CardDAV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서버이다. 5232 포트를 사용하고 데비안 계열에서 apt 명령어로 바로 설치할 수 있으며, apache/nginx 두 웹 서버 모두 설정 후 사용할 수 있다.

구축 이유

우선,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한다면 구글 계정을 반드시 사용해야 하며 해당 계정을 통해 캘린더와 연락처가 동기화 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 등 다른 플랫폼에서도 캘린더와 주소록이 연동되면 좋을 것 같아 알아보던 중 CalDAV/CardDAV 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구축하게 되었다.

설치

위에서도 언급했다시피 데비안 계열은 apt로 설치할 수 있다.

# radicale 서버 설치
apt install radicale python3-bcrypt

# 사용자 설정 htpasswd -B -c /etc/radicale/users "사용자명" new password : ****

# 서버 설정 vi /etc/radicale/config

 

서버 설정은 개인 서버에 맞게 설정하면 되며 nginx의 설정에서 중요한 부분(반드시 ‘/’로 끝나야함)은 아래와 같다.

location /radicale/ { # The trailing / is important!
    proxy_pass http://localhost:5232/; # The / is important!
    proxy_set_header X-Script-Name /radicale;
    proxy_set_header X-Forwarded-For $proxy_add_x_forwarded_for;
    proxy_pass_header Authorization;
}

 

radicale.service에 “ReadWritePaths”가 있는데, 반드시 경로에 따라 수정되어야 한다.

 

주소록 및 캘린더 공간 생성

브라우저에서 “서버IP:5232″로 접속하면 로그인 화면이 나오며, 계정은 “htpasswd”로 만들었던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된다. 로그인 후 사용할 주소록 및 캘린더를 만들면 모든 준비는 끝난다.

클라이언트

Windows

컴퓨터에서 사용할 클라이언트는 “Thunderbird”이다. 계정 설정을 한 후 캘린더와 주소록에 각각 구축한 서버 내용을 넣어서 적용하면 된다.

Android

안드로이드는 기본적으로 CalDAV/CardDAV를 지원하지 않으며 별로의 앱이 필요하다. 추천하는 앱은 “OpenSync”이며, 계정을 등록하면 계정 설정에 해당 앱에서 설정한 계정이 보이며 동기화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IOS

CalDAV/CardDAV 프로토콜이 사실 애플에서 WebDAV로 일정 관리를 시작하다가 표준으로 채택되면서 나오게 된 프로토콜이라 기본적으로 지원한다. 계정에 CalDAV 계정을 추가할 수 있는 옵션이 기본으로 있어 설정하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게시됨

카테고리

,

작성자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